안녕하세요.
44회차 과제 "최소직사각형"입니다.
문제 설명
명함 지갑을 만드는 회사에서 지갑의 크기를 정하려고 합니다.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명함들을 모두 수납할 수 있으면서, 작아서 들고 다니기 편한 지갑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지갑을 만들기 위해 디자인팀은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조사했습니다.
아래 표는 4가지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가장 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각각 80, 70이기 때문에 80(가로) x 70(세로) 크기의 지갑을 만들면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번 명함을 가로로 눕혀 수납한다면 80(가로) x 50(세로) 크기의 지갑으로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
이때의 지갑 크기는 4000(=80 x 50)입니다.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내는 2차원 배열 siz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모든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지갑을 만들 때, 지갑의 크기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sizes의 길이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sizes의 원소는 [w, h] 형식입니다.
- w는 명함의 가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 h는 명함의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 w와 h는 1 이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sizes) {
int x = 0;
int y = 0;
int cnt = 0;
for (int i = 0; i < sizes.length; i++) {
// 두 수의 크기를 비교하여 큰 수는 x, 작은 수는 y
if(sizes[i][cnt] >= sizes[i][cnt+1]){
// 기존 입력된 숫자보다 큰 수일 경우에만 변경
if(x < sizes[i][cnt]){x = sizes[i][cnt];}
if(y < sizes[i][cnt+1]){y = sizes[i][cnt+1];}
} else {
// 기존 입력된 숫자보다 큰 수일 경우에만 변경
if(x < sizes[i][cnt+1]){x = sizes[i][cnt+1];}
if(y < sizes[i][cnt]){y = sizes[i][cnt];}
}
if(cnt >= sizes.length) {break;}
}
return x * y;
}
}
다른 사람의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sizes) {
int max_row = 0; //가로의 최대 길이
int max_col = 0; // 세로의 최대 길이
for(int i=0;i<sizes.length;i++){ //긴 부분을 가로로 재배치
if(sizes[i][0]<sizes[i][1]){
int tmp = sizes[i][0];
sizes[i][0] = sizes[i][1];
sizes[i][1] = tmp;
}
if(max_row<sizes[i][0]) max_row = sizes[i][0]; // 최대값
if(max_col<sizes[i][1]) max_col = sizes[i][1]; // 최대값
}
return max_col*max_row; //결과
}}
배운 것
제가 작성한 코드에 비해 다른 사람이 작성한 코드는 비교 후에 데이터 자체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되었기에 조금 더 깔끔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저처럼 처음해보시는 분들에게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내일배움캠프 > Daily Routine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배움캠프] 알고리즘 Daily Routine 46.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1) | 2024.10.08 |
---|---|
[내일배움캠프] 알고리즘 Daily Routine 45. 시저 암호 (0) | 2024.10.07 |
[내일배움캠프] 알고리즘 Daily Routine 43. 크기가 작은 부분 (0) | 2024.10.01 |
[내일배움캠프] 알고리즘 Daily Routine 42. 삼총사 (1) | 2024.09.27 |
[내일배움캠프] 알고리즘 Daily Routine 41. 이상한 문자 만들기 (0) | 2024.09.26 |
댓글